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철근 운반비/운임비는 얼마인가요? 도착도/상차도

by kindwind 2024. 2. 1.

오늘은 철근 주문 시 운반비에 대해서 간단하게 얘기해보려 합니다.

보통 철근 주문 단위는 25톤 기준으로 주문을 하게 되는데요.

하지만 현장 장소가 협소하거나 주문량이 많지 않을때는 그보다 작은 단위로 주문을 하게 됩니다.

 

국산철근 기준으로 25톤은 운임 없이 전국 도착도로 운송이 가능하지만,

25톤 미만의 경우 운반비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이 운반비 계산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운반비 계산

​​

보톤 국산기준 공장직접출하(25톤 이상)은 전국 도착도(운임비 포함)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25톤 미만의 경우 수도권 근거리는 하치장출하로 운임비가 발생됩니다.

하지만 근거리이면서 주문물량이 25톤 미만이더라도,

공장 직접출하를 통해 25톤에 모자른 중량 기준의 공차운임비만 부담하시어,

저렴한 운임으로도 철근 출하가 가능합니다.

예시

예를들어 당진공장에서 주문하여 경기도 시흥시 현장으로 철근 18톤 주문시,

 

공차운임기준중량 = 기준25톤- 주문물량18톤

 

즉, 공차운임기준중량 7톤에 대한 공차운임만 부담하시면 됩니다.

 

공차운임은 공장과 도착지 거리에 따라 톤당 단가가 존재하는데요,

공장과 도착지의 거리에 따라 10,000~30,000원/톤정도 보시면 됩니다.

 

당진공장에서 경기도 시흥시의 공차운임은 약 10,000원/톤이며,

따라서 7톤 x 10,000원 = 70,000원의 공차운임이 발생하게 됩니다.

 

 

 

만약, 주문물량이 10톤 내외라면, 공장에서 주문하더라고 공차운임이 많이 발생하게 되므로,

철근 하치장에서 출하하는 것이 운임이 저렴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철근대리점 담당자에게 문의주시면 더 저렴한 운임단가로 안내해 주실겁니다.

 

경기도 시흥에 있는 오복철강 주식회사(031-482-0357)에서는 수도권 및 전국 철근 가격으로

납품이 가능하오니, 연락 주시면 자세히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